영화 새콤달콤은 힘을 내요, 미스터 리와 럭키를 연출한 이계벽 감독의 연출작입니다. 이계벽 감독은 로맨틱 코미디 장르의 야수와 미녀로 데뷔했으며 이후에도 로맨스 장르에 대한 갈망이 있었습니다. 조금은 어른스럽고 현실적인 로맨스 이야기를 구상하다 이니시에이션 러브를 원작으로 하는 새콤달콤의 영화화를 구상했으며 영화 제목 새콤달콤은 연애의 달콤함과 반면에 항상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모순된 연애의 양면을 의미합니다.
"영화 새콤달콤 줄거리 소개"
장혁과 다은은 환자와 간호사로 만나 연애를 시작하게 되었고 둘의 사랑은 동거로 이어졌습니다. 즐거운 연애의 한 때를 만끽하던 때 중소기업을 다니던 장혁이 서울의 대기업으로 파견나가게 되고 장혁은 어쩔 수 없이 서울과 다은의 집이 있는 인천을 왔다 갔다 합니다. 하지만 인천에서 서울로 출퇴근을 하다 보니 장혁은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동거생활이 번거로워졌고 여기에 대기업의 과도한 업무와 직장동료 보영에게 끌리기 시작하면서 장혁과 다은의 사이는 점점 멀어져 가는데...
"남성들의 과도한 판타지가 담겨있는 캐릭터 다은과 보영"
다은은 환자로 입원한 장혁에게 부담스러울 정도로 과도한 친절을 보였고 장혁 또한 다은을 좋아하게 되면서 두 사람은 급속도로 가까워집니다. 하지만 다은이 장혁에게 간호사로서 친절함을 보인 장면들은 남성들의 판타지가 담긴 설정들의 모습들이 대부분입니다. 서스럼 없이 환자와 식사를 함께 먹고 함께 잠을 자며 간호사가 과도한 친절을 보이는 장면들은 남자들의 환상 속에서만 가능한 남자들이 만들어낸 캐릭터입니다. 때문에 영화는 처음에 어느 정도 설렘을 느끼게 하다가 다은의 과도한 캐릭터 설정으로 몰입이 점점 깨지기 시작합니다.
직장동료 보영 또한 다은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대기업에 파견 온 보영은 장혁에게 라이벌 의식을 느끼면서 서로 티격태격하지만 회사는 두 사람에게 중요한 프로젝트를 맡기게 되고 두 사람은 자신의 능력을 증명하기 위해서 매일같이 야근을 하면서 친해지게 됩니다. 하지만 처음에는 빈 틈이 전혀 보이지 않았던 보영이 음식을 머리카락에 붙이고 다니거나 소스를 흘린 옷을 계속 입고 있는 등의 과도한 설정으로 쉽게 흐트러지는 모습으로 변하는 과정과 그토록 꺼리던 장혁에게 호감으로 바뀌는 과정은 인위적인 색깔이 강하게 묻어 나와 리얼함이 많이 떨어지는 캐릭터로 전락합니다.
"영화를 끝까지 볼 수 있었던 건 주연 배우들의 활약덕분"
영화의 과도한 설정과 남성들의 판타지에 기댄 스토리 전개에도 불구하고 이 영화가 로맨스 장르의 작품으로서의 느낌이 조금이나마 살아날 수 있었던 것은 주연 배우 세 명의 연기력 덕분입니다. 보영을 연기한 정수정은 이미 연기자로서 자리를 잡은 느낌이고 영화에서는 잘 볼 수 없었던 채수빈과 장기용은 과도한 설정의 캐릭터를 최대한 자연스럽게 소화해냈습니다.
"결국은 누구도 행복해지지 못했던 결말"
다은의 갑작스러운 임신소식에도 불구하고 장혁은 전혀 기뻐하지 않았고 결국 다은은 아이를 지우는 선택을 합니다. 그리고 이후에도 장혁은 바쁜 회사일과 다은과의 연애에 대해 식어버린 심리적인 요인이 합쳐져 점점 다은을 귀찮은 존재로 취급하게 되었고 그렇게 다은과 장혁은 이별의 순간을 맞이합니다. 장혁은 다은과 헤어지자마자 직장동료 보영과 새로운 사랑을 시작하지만 두 사람의 대기업 파견기간이 끝나가고 각자의 길로 돌아서면서 장혁은 또다시 다은을 떠올립니다.
결국 장혁은 다은을 찾아가지만 이때 영화의 시작과 결말이 얽혀있는 반전이 일어나면서 영화는 결국 그 누구도 행복하지 못한 씁쓸한 결말로 마무리됩니다. 장혁은 다은을 제 손으로 놓쳐버린 뒤 뒤늦게 다은을 그리워하는 이중적인 모습을 보여 찌질한 남성으로 그려지고 다은은 장혁과 이별 후 장혁에게 보기 좋게 복수할 수 있는 방법을 실행에 옮기고 또 복수에 성공하지만 사랑의 상처가 다 아물지 않은 쓸쓸한 뒷모습을 보이며 영화는 그나마 결말에 이르러 현실적인 사랑과 이별의 형태에 다가간 모습을 보여줍니다.
영화 새콤달콤에서 가장 아쉬운 점은 남성 판타지에 의존해 만들어진 여성 캐릭터와 스토리 설정으로 인해 영화의 초중반의 현실성이 떨어지는 부분입니다. 다소 어느 정도의 남성 판타지가 곁들어 있는 여성 주인공의 활약은 분명 남성 관객들에게 설렘을 유도할 수 있지만 이 영화는 기준치를 넘어서는 수준의 과도한 판타지가 들어있고 때문에 영화의 현실적인 다소 씁쓸한 결말에도 관객들은 연애의 이중성에 대해서 깊게 공감하기 힘듭니다.
★★☆
'영화 lo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블랙 아일랜드 후기 줄거리 결말 해석 스포 넷플릭스 (0) | 2021.08.19 |
---|---|
영화 올드 후기 줄거리 결말 해석 스포 (0) | 2021.08.18 |
영화 베킷 후기 줄거리 결말 스포 넷플릭스 (0) | 2021.08.16 |
영화 프리 가이 후기 줄거리 결말 해석 스포 (0) | 2021.08.15 |
영화 암살자들 후기 줄거리 결말 해석 김정남 암살사건 (0) | 2021.08.14 |